문제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1053 11053번: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수열 A가 주어졌을 때,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예를 들어, 수열 A = {10, 20, 10, 30, 20, 50} 인 경우에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은 A = {10, 20, 10, 30, 20, 50} 이 www.acmicpc.net 해당 문제는 수열 A 가 주어졌을때,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, LIS (Longest Increasing Subsequence) 의 길이를 구하는 문제이다.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규칙을 찾거나, 일반식을 찾는 것이다. 먼저, arr[1] < arr[2] 이므로 dp[2] = dp[1] ..
문제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03 1003번: 피보나치 함수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0이 출력되는 횟수와 1이 출력되는 횟수를 공백으로 구분해서 출력한다. www.acmicpc.net 해당 문제는 피보나치 수열 중 하나를 호출하는 데에 필요한 피보나치(0) 과 피보나치 (1) 함수의 호출횟수를 카운트하는 문제이다. 이러한 문제는 전에 풀어본 유형인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으로, 5까지만 호출횟수를 세어도 DP 유형임을 파악할 수 있다.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에 관한 포스팅은 이전 포스팅인 "9095번 : 1,2,3 더하기 " 문제에서 자세히 다루었으니 참고하면 된다. https://codingjust.tistory.com/21 import java.io.BufferedRea..
다이나믹 프로그래밍 (DP) 해당 문제의 알고리즘을 확인해보면 '다이나믹 프로그래밍' 이라고 되어 있다. 이는 동적 계획법이라고도 불리며, 하나의 큰 문제를 여러 개의 작은 문제로 나누어서 그 결과를 저장하여 다시 큰 문제를 해결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특정한 알고리즘이 아닌 하나의 문제해결 패러다임으로 볼 수 있다. 이는 큰 문제를 작은 문제로 쪼개서, 그 답을 저장해두고 재활용하는 방식으로 자주 쓰인다. (기억해가면서 풀기) DP를 쓰는 이유 일반적인 재귀 방식 또한 DP와 매우 유사하다. 하지만 둘의 큰 차이점은 일반적인 재귀를 단순히 사용 시 동일한 작은 문제들이 여러 번 반복 되어 비효율적인 계산될 수 있다는 것이다. 예를 들어 피보나치 수열을 살펴보자. 피보나치 수열은 다음과 같다. 1, 1, ..
문제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978 1978번: 소수 찾기 첫 줄에 수의 개수 N이 주어진다. N은 100이하이다. 다음으로 N개의 수가 주어지는데 수는 1,000 이하의 자연수이다. www.acmicpc.net 해당 문제는 전에 풀었던 1929번 : 소수 구하기와 매우 유사한 문제이다. ( 풀이 : https://codingjust.tistory.com/19) 해당 문제도 '에라토스테레스의 체'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풀이하였다. 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 import java.io.IOException; 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 import java.util.StringTokenizer; public ..
문제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929 1929번: 소수 구하기 첫째 줄에 자연수 M과 N이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. (1 ≤ M ≤ N ≤ 1,000,000) M이상 N이하의 소수가 하나 이상 있는 입력만 주어진다. www.acmicpc.net 해당 문제는 범위가 주어지면 범위 내의 소수를 찾아내는 문제인데, 아래 코드와 같이 2중 for문으로 코드를 작성하니 시간 초과가 발생하였다. // 시간 초과가 발생한 알고리즘 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 import java.io.IOException; 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 import java.nio.Buffer; import java.util.Sca..
자바를 이용해 백준 문제들을 풀다 보면, Scanner 를 이용해 입력받으면 시간 초과가 나는 경우를 경험할 수 있다. 이는 Scanner보다 더 빠르게 처리해주는 BufferedReader 를 이용해 입력받으면 해결이 가능하고, BufferedReader를 이용해 입력받았는데도 시간 초과가 난다면 내 알고리즘을 다시 체크해봐야 한다. [BufferedReader 선언방법] 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 import java.io.IOException; 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 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 BufferedReader 는 해당 ..
문제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828 10828번: 스택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(1 ≤ N ≤ 1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.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, 100,000보다 작거나 같다. 문제에 나와있지 www.acmicpc.net 입력을 받을 때 Scanner 보다 BufferedReader를 사용하여 더 빠른 처리가 가능하게 하였다. System.out 을 이용하여 출력 할 때에는 [ 조건식 ? true : false ] 를 이용하여, 간단하게 코드를 구성하였다. 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 import java.io.IOException; import java.io...
문제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231 2231번: 분해합 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,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리수의 합을 의미한다.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인 경우, M을 N의 생성자라 한다. 예를 들어, 245의 분해합은 256(=245+2+4+5)이 www.acmicpc.net BufferedReader 를 활용해 입력을 받았고, for 문을 통해 0부터 N 까지의 숫자를 searching 하며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면 break 하는 구성으로 짜 보았다. 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 import java.io.IOException; 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 public c..
문제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866 10866번: 덱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(1 ≤ N ≤ 1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.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, 100,000보다 작거나 같다. 문제에 나와있지 www.acmicpc.net Deque의 addFirst() / removeFirst() / peekFirst() 를 잘 알고 있으면, 쉬운 문제이다. 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 import java.io.IOException; 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 import java.util.Deque; import java.util.Linked..